NEWS
현장스케치 02
2025 탄소중립 K-Tech 포럼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회장 구자균, 이하 산기협)와 김성환(더불어민주당, 서울 노원구을), 김소희(국민의 힘, 비례대표) 국회의원이 공동 주최하고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가 후원하는 ‘2025 탄소중립 K-Tech 포럼’이 3월 13일(목)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포럼은 기존에 산기협이 운영하던 ‘탄소중립 K-Tech 포럼’을 오픈 포럼 형태로 확대한 첫 행사다. 탄소감축 밸류체인에 속하는 많은 기술기업이 참여하여 의견을 개진하고, 탄소중립 관련 정책 정보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포럼에는 산기협 구자균 회장과 김성환·김소희 의원, 기업 대표 및 연구소장 등 100여 명이 참석했으며, ‘탄소중립 추진 경과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산·학·연·정의 역할’을 주제로 발제와 토론이 진행되었다.
첫 번째 발제를 맡은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김태한 수석연구원은 ‘트럼프 2.0 시대의 우리나라 탄소중립 추진 전략’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며, “트럼프 정권 이후의 국제 정세 대비 및 기후 리더십 확보 등을 위해 과감한 2035 NDC(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제시해야 하고, 관련 재정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두 번째 발제에서는 대한상공회의소 지속가능경영원 조영준 원장이 ‘산업계 탄소감축 현안과 공급망 대응을 위한 과제’를 주제로 발표하며, “공급망을 아우르는 온실가스 MRV(Measuring, Reporting, Verifying; 측정, 보고, 검증) 시스템과 데이터 공유 환경을 마련해야 하고, 기후테크 규제를 개선하며 민간 투자를 유도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마지막 발제를 맡은 LG화학 이종구 부사장은 ‘산업계 탄소감축 기술혁신 사례 및 글로벌 탄소규제 대응 방안’을 주제로, 국가 차원의 구체적 로드맵 제시와 탄소중립 산업 활성화를 위한 그린 에너지 공급 대책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이어진 패널토론에서는 서울대학교 윤제용 교수가 좌장을 맡았다. 발제자 3인을 비롯하여 포스코 기술연구원 김성연 원장, 김앤장 환경에너지연구소 김성우 소장, KAIST 정희태 교수,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등이 참여하여 활발한 논의를 진행했다.
이번 포럼을 주최한 산기협 구자균 회장은 “글로벌 기후 정책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정부와 산업계, 학계, 연구계가 협력하여 지속 가능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라며,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공동의 노력이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 나가자.”라고 강조했다.